보이스피싱 악성 앱 의심 되는 문자나 카톡을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요즘 SKT 이동통신의 유심 정보 유출사건으로 보안에 대한 관심이 커져있습니다. 특히 보이스피싱범죄로 이어지는 개인정보유출의 경우 조심해야 하는데요 오늘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2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악성 앱은 요즘 누구나 아는 내용이지만 잠시 정리를 해보면, 누군가 알지 못하는 사람이 전화를 걸어와서 자신의 돈 그리고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전문 사기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훈련이 잘 된 사람들이 전화를 걸고 은행에서 이체를 하게 만들거나, 만나서 돈을 가로채기도 하고 문자로 전화를 중간에 가로챌 수 있는 악성앱을 설치하게 유도하기도 합니다.
방송이나 신문에서 많이 봤을 텐데요. 주로 하는 사기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검찰 또는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전화를 합니다. 안전한 계자로 돈을 이체해야 한다고 하죠
• 은행직원으로 사칭하여 안전한 계좌로 돈을 이체하라고 합니다.
• 저금리 대출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위장하여 돈을 가로채기도 합니다.
• 취업을 하고 싶은 청년들에게 취업을 빙자하여 곤을 가로채기도 합니다.
• 자녀 또는 배우자 친구로 위장하여 메신저로 긴급하게 돈을 빌려달라고도 합니다.
• 택배기사 또는 우체국 택배기사로 사칭하여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여 악성 얩이 설치되도록 합니다.
👉위와 같은 사례는 기본적이고 제가 모르는 수많은 사기기법들이 있습니다. 또한 요즘은 AI시대여서 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보이스피싱 악성 앱 예방을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 출처를 알 수 없는 전화를 받거나 혹은 메시지를 받으면 일단 먼저 클릭하거나 응대를 하면 안됩니다.
• 검찰청 또는 정부기관이 먼저 전화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일단 전화를 끊고 실제 직원인지 어떤 일인지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 수상한 링크를 받았다면 절대 클릭하면 안됩니다,
• 개인정보를 전화로 알려주면 절대 안됩니다.
• 가족 또는 지인에게 메신저로 돈을 보내달라고 연락받으면 음성 영상 통화로 확인을 먼저 해야 합니다.
• 비밀번호는 항상 정기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스마트폰에 백신 또는 보이스피싱 검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 만일 의심스러우면 112 또는 금융기관에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금융감독원은 1332번으로 신고.
👉이렇게 의심스러운 전화 또는 문자에는 절대 대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악성 앱이 설치된것 같다라고 생각이 들면, 아래에 알려드리는 찐센터 그리고 보호나라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이스피싱 의심되는 전화를 받고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게 된다면 URL을 검사해 보는 곳이 있습니다. 또한 QR코드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의심되는 것들이 있다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찐센터” 그리고 “보호나라“입니다.
대검찰청에서 만든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라는 명칭인데 약식으로 “찐센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인이 검찰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해당 상황에 대해 진짜인지 가짜인지 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전화번호는 010-3570-8242(빨리사기),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찐센터 고객센터 번호입니다. 24시간 통화가능하구요 참고로 검찰청의 대표전화는 국번없이 1301입니다.
만일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면, 자신의 스마트폰은 벌써 가로채기 앱이 설치되었을 수 있으니, 다른 사람 전화로 위 고객센터로 전화해서 자신이 받은 전화번호가 가짜인지 진짜인지 확인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위의 콜센터에 전화로 문의해도 되고, 문자로 문의 해도 됩니다.
또한 카카오톡으로도 할 수 있는데요.
카카오톡 채팅에서 찐센터를 검색해서 친구추가를 해주세요.
찐센터를 친구추가가 되면 이용안내를 클릭해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① [검찰사칭판별] 클릭하면
:수사관의 이름 또는 휴대전화 번호를 가지고 실제 직원인지 아닌지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② [위조서류판별]을 클릭하면
:영장이나 출석요구서 등 위조 의심 서류 사진을 보내서 진짜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 가장 중요한것은 검찰 등 공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금전이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 점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보호나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호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포털사이트입니다. 주로 사이버범죄나 위험으로 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해 주는데요.
“보호나라”를 통해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는 URL 또는 QR코드를 어떻게 검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① 카카오톡 친구에서 “보호나라”로 검색후 “보호나라” 채널이 검색이되면 친구추가를 진행합니다.
보호나라 채널에는 “스미싱.피싱” “큐싱”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② “스미싱.피싱”을 클릭하면 URL주소가 포함되도록 채팅창에 입력을 해주면 됩니다.
③ “큐싱”을 클릭하면 QR코드를 스캔하면 됩니다. 큐싱은 QR코드로 접속하여 피싱되는것을 막고자 만든 검사 앱입니다.
이렇게 보호나라의 카톡친구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악성앱이 설치되는 URL 그리고 QR코드를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
항상 우리는 악성 링크만 조심했었는데, 이제는 QR로도 위장앱을 설치유도 하는 작업도 많다고 합니다.
국가기관에서 또는 행정처리를 위해 QR코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직접 진행하는 경우는 믿을 수 있지만 온라인으로 QR코드를 주고 QR코드로 접속하는 것을 유도한다면 반드시 의심을 먼저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럴때 “보호나라”카카오톡 친구채널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이스피싱의 대처에 대해 항상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이스피싱으로 이어지는 문자로 URL, QR을 통해 악성앱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검찰청에서 만든 “찐센터”를 통해 실제 검찰청에서 연락을 한건지, 실제 고소장이 접수된 서류가 맞는지 확인을 반드시 해봐야 합니다.
또한 문자나 카톡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URL을 받았거나 QR코드를 받았다면 “보호나라”를 카카오톡 친구추가를 하여 검사를 해 볼 수 있습니다.
언제나 보이스피싱은 당하고 나서 후회하면 안됩니다. 당하기 전에 미리 이렇게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찐센터”, “보호나라” 카카오톡 친구를 반드시 하시기 바랍니다.
보이스피싱 악성 앱 둘 다 늘 감시하고 절대 설치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워드프레스 방문자분석은 아주 중요한 분석입니다. 방문자의 연령, 성별, 지역 같은 것을 통해 전략을 세우기도 하고,…
서울시 장애인 무임승차카드가 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장애인분들은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서 대상이 되면 반드시…